어제까지 MPFS 모델이란?라는 이야기를 해 왔습니다.그렇다면 왜 이런 일을 생각하고 “모델”을 만들어야 할까요?

MPFS 모델

무언가 목표를 내걸지만, 목표 달성이 도중에 좌절해 버리는 일이 있습니다.

그 원인의 대부분은 목표를 달성하기까지의 근도가 분명하지 않고, 어떻게 진행해도 좋은지 모르는 채로 시간이 지나 버리는 것입니다.목표를 세웠을 때에 비해 환경이 바뀌고, 결국은 목표를 수정하거나 백지로 되돌릴 수밖에 없고, 당초의 목적은 달성할 수 없고 끝나 버리는 것입니다.그렇게 되지 않기 위해서 미리 필요한 것이, 목표 달성까지의 방향성이나 근도를 나타내는 “사고방식의 모델”입니다.

그런데, 체인점이 내거는“목표”로서 자주 듣는 것이, 「점포수 1000 점포 체제를 목표로 한다」라고 하는 이야기입니다.코메다 커피를 전개하는 코메다 홀딩스도 최근 그러한 발표를 했습니다 (참고 기사 :소매 사업 경영자에게 부족한 정보 · 지식 ① | 코메다 HD의 연초래 저가 갱신을 받아).또, 올해 XNUMX월에 아키하바라에 일본 재참가 XNUMX호점을 개점한 「칼스 주니어」미국 간부도, 취재에 다음과 같이 대답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프랜차이즈 방식으로 전개해 나갈 방침으로, 가맹점에 대해서는 향후 결정해 나갈 것이다.시기는 명언하고 있지 않지만, 장래적으로는 1000점 규모까지의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같은 규모의 체인으로는 '스타벅스'나 '사이젤리아' 등을 들 수 있다. (출처:동양경제 온라인)

그렇다면 여기에 언급 된 일본 시장에서 자주 성장 목표의 벤치 마크로 알려진 유명한 소매 브랜드와 다른 대부분의 소매 브랜드 사이에 압도적인 차이가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브랜드 인지도입니다.극단적 인 경우, 100 대 10 정도의 차이, 즉 벤치 마크로하는 것이 무모한 정도의 열림이있을 수 있습니다.

소매 브랜드의 운영에 있어서, 브랜드 인지도의 파악은 중요합니다.왜냐하면, 일반 소비자는, “어느 가게인지 모르는 가게(=인지하고 있지 않는 가게)”에는 입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일반 소비자는, 리테일러의 브랜드(야호)를 우선 인지해, 한층 더, 행동 범위내에 점포가 존재하는 것을 아는 것에 의해, 실제로 입점하는 것입니다.리테일러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선결입니다.이것이 낮으면, 새로운 시장에 진출했다고 해도, 이용 경험자의 수도 높아지지 않고, 높은 매출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실제 매장에 고객의 충분하고 지속적인 방문도 기대할 수 없습니다.또, 원래 점포를 열 기회를 충분히 얻는 것도 기대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브랜드인지는 하루 아침에 저녁에는 획득할 수 없습니다.비용도 듭니다.「인기 체인점으로서 일반 소비자에게 인지된 브랜드」라고 말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브랜드 인지도 획득을 목표로 해야 할까요?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그럼 기존 리테일 브랜드의 인지도의 차이는 실제로 어느 정도인가?」라는 정보가 필수적입니다.그러나 사실, 그러한 정보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거기서, 후쿠토쿠사에서는, 누구라도 아는 노포 리테일 브랜드 「맥도날드」로부터, 최신의 리테일 브랜드로 “화제의 브랜드”라고 보도되고 있는 신흥 리테일 브랜드까지의 26 브랜드를 선택해, 관동 마켓에서의 인지 정도를 비교했습니다.

이하가 그 조사 대상 브랜드입니다만,MPFS 모델에 대한 “맞춤”의 결과는 어떻게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소매 브랜드 침투도 조사 2016」조사 대상 브랜드(전 26 브랜드)
맥도날드  모스 버거  렛슈 네스 버거  롯데리아  버거킹 ● 퍼스트 키친  웬디  쿠아아이나  셰이크 샤크  칼스 주니어  스타벅스 커피  커피 톨리  코메다 커피 숍  우에시마 커피점  산마르크 카페  커피 콩 & 티 리프  블루 병 커피  크리스피 크림 도넛  개렛 팝콘 숍스  콜드 스톤 크리마리  파이페이스  타코벨  IKEA  플라잉 타이거 코펜하겐  러쉬  록시탄

続き은내일 블로그시.